본문 바로가기

간질 응급조치 간질 응급처치 간질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질 완치 유전

행복한 살몬 2025. 2. 27.

간질(뇌전증, Epilepsy)

1. 간질이란?

간질(Epilepsy)은 뇌의 신경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전기적 활동을 일으켜 반복적인 발작을 유발하는 만성 신경계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뇌전증'이라는 용어가 더 정확하며, 전 세계적으로 수천만 명의 사람들이 이 질환을 앓고 있습니다.

간질은 단순한 질병이 아니라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복합적인 신경학적 상태입니다. 발작은 환자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증상의 종류와 빈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질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및 관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간질

2. 간질의 주요 원인

간질의 원인은 다양하며, 일부 환자에서는 정확한 원인을 찾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간질 발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2.1 유전적 요인

  • 가족력이 있는 경우 간질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
  • 특정 유전자 변이가 뇌의 전기 신호 전달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2.2 뇌 손상 및 구조적 이상

  • 출생 시 뇌 손상(산소 부족, 미숙아 출생 등).
  • 두부 외상(교통사고, 강한 충격 등).
  • 뇌졸중이나 뇌종양으로 인한 뇌 구조 손상.
  • 신경관 결손(선천적 기형).

2.3 감염성 질환

  • 뇌염, 수막염 등 중추신경계 감염.
  • 기생충 감염(예: 신경낭미충증).

2.4 대사 이상

  • 저혈당, 전해질 불균형, 신부전 등 대사 장애.
  • 비타민 B6 결핍(특히 영아에서 발생 가능).

2.5 기타 원인

  • 알코올 및 약물 남용.
  • 극심한 스트레스 및 수면 부족.
  • 강한 빛, 특정 소리 등의 감각 자극.
  • 일부 약물(항우울제, 항정신병제 등)의 부작용.
간질

3. 간질의 주요 증상

간질의 증상은 발작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작은 크게 국소 발작전신 발작으로 나뉩니다.

3.1 국소 발작(Focal Seizures)

국소 발작은 뇌의 특정 부위에서 시작되며, 의식이 유지될 수도 있고 흐려질 수도 있습니다.

  1. 단순 부분 발작(Simple Partial Seizures)
    • 의식이 유지되며, 신체 일부의 경련, 감각 이상(이상한 냄새, 빛 감각 등)이 나타남.
    • 일시적인 감각 변화(청각 환각, 시각 환각 등) 경험.
  2. 복합 부분 발작(Complex Partial Seizures)
    • 의식이 혼미해지고 비정상적인 행동(자동증)이 나타날 수 있음.
    • 멍한 표정, 의미 없는 손 움직임, 반복적인 입맛 다시기 등의 증상.

3.2 전신 발작(Generalized Seizures)

전신 발작은 뇌의 양쪽 반구에서 동시에 발생하며, 의식 소실이 동반될 가능성이 큽니다.

  1. 강직 간대 발작(Tonic-Clonic Seizures, Grand Mal Seizures)
    • 전신 경련과 의식 소실.
    • 강직기(몸이 굳어짐) 후 간대기(몸이 경련을 일으킴)로 진행.
    • 발작 후 혼란 상태(포스트익탈 상태) 지속.
  2. 결신 발작(Absence Seizures, Petit Mal Seizures)
    • 몇 초 동안 멍한 상태로 있다가 정상으로 돌아옴.
    • 어린이에게서 흔하게 발생.
  3. 근간대 발작(Myoclonic Seizures)
    • 짧고 빠른 근육 경련이 발생.
    • 잠에서 깨는 순간 갑작스러운 경련이 나타날 수 있음.
  4. 무긴장 발작(Atonic Seizures)
    • 갑자기 근육의 힘이 빠지면서 넘어짐.
    • '낙하 발작(drop attack)'이라고도 불림.
간질

4. 간질의 진단 방법

간질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신경과 전문의의 평가와 여러 가지 검사가 필요합니다.

4.1 병력 조사 및 신체 검사

  • 발작의 빈도, 지속 시간, 발생 상황 등을 확인.
  • 가족력, 생활 습관, 약물 사용 여부 조사.

4.2 신경학적 검사

  • 신경 반사, 감각 기능, 운동 능력 평가.
  • 인지 및 정신 상태 검사.

4.3 뇌파 검사(EEG, Electroencephalogram)

  •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여 비정상적인 뇌파 패턴 확인.
  • 간질 발작 중 또는 발작 후 특정한 뇌파 변화 관찰 가능.

4.4 영상 검사(CT, MRI)

  • 뇌 구조 이상(종양, 뇌졸중, 기형 등) 확인.
  • 신경계 손상 여부 평가.

4.5 혈액 검사 및 유전자 검사

  • 대사 이상, 감염 여부 확인.
  • 특정 유전적 변이 검사.
간질

5. 간질의 치료 방법

간질은 완치가 어려운 경우가 많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발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5.1 약물 치료(Antiepileptic Drugs, AEDs)

  • 발작 유형에 따라 맞춤형 항경련제 처방.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 발프로산(Valproate)
    • 카바마제핀(Carbamazepine)
    • 라모트리진(Lamotrigine)
    • 레비티라세탐(Levetiracetam)

5.2 수술 치료

  • 뇌의 이상 부위를 절제하는 수술 시행.
  • 뇌전증 수술은 일부 환자에서 효과적일 수 있음.

5.3 케톤식이 요법(Ketogenic Diet)

  • 고지방, 저탄수화물 식단이 발작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특히 소아 간질 환자에서 유효성이 입증됨.

5.4 신경조절 치료

  • 미주신경 자극기(Vagus Nerve Stimulation, VNS) 삽입.
  • 심부 뇌 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 활용.
간질

글을 마무리하며..

간질은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정기적인 치료를 받으면 발작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간질 환자와 가족들은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질환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의료 상담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