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소세포폐암 표적 치료] 비소세포폐암 표적 치료 전략 유전자 검사

행복한 살몬 2025. 4. 17.
반응형

비소세포폐암(NSCLC)의 표적 치료 전략

✅ 요약

비소세포폐암은 다양한 유전자 변이에 따라 치료 전략이 달라지는 정밀의학 시대의 대표적 암입니다. EGFR, ALK, ROS1, KRAS, BRAF 등 다양한 변이에 따라 맞춤형 표적 치료제가 적용되며, 진단부터 약제 선택, 내성 극복 전략까지 의료 전문가의 시각으로 상세히 안내합니다.

비소세포폐암 표적 치료

1부: 표적 치료란 무엇인가?

1. 정의와 개념

  • 표적 치료(Targeted Therapy)는 암세포에 존재하는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나 단백질을 직접 표적으로 삼아 치료하는 전략
  • 전통 항암제는 세포 분열을 억제하지만 정상 세포도 함께 공격 → 부작용↑
  • 표적 치료는 정상 세포는 최대한 보존하고,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

2. 적용 대상

  • 유전자 변이를 보유한 환자 (진단 후 확정)
  • 주로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활용됨

비소세포폐암 표적 치료


2부: 비소세포폐암에서 발견되는 주요 유전자 변이와 치료제

1. EGFR 돌연변이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 전체 비소세포폐암의 30~40% 차지 (특히 아시아 여성 비흡연자)
  • 치료제:
    • 1세대: 이레사(게피티닙), 타세바(엘로티닙)
    • 2세대: 지오트립(아파티닙)
    • 3세대: 타그리소(오시머티닙) – T790M 내성 돌연변이에 효과

2. ALK 재배열 (Anaplastic Lymphoma Kinase)

  • 주로 젊은 비흡연자, 선암 형태
  • 치료제:
    • 크리조티닙 → 알레센자(알렉티닙) → 브리가티닙 → 로라티닙 순으로 단계적 치료

3. ROS1 재배열

  • ALK와 유사, 드물지만 중요
  • 치료제: 크리조티닙, 엔트렉티닙

4. KRAS 돌연변이

  • 미국/유럽 환자에게서 더 흔함 (전체 NSCLC의 약 25%)
  • 치료제: 소토라십(KRAS G12C 변이 대상)

비소세포폐암 표적 치료

5. 기타 유전자

  • BRAF V600E: 다브라페닙 + 트라메티닙
  • MET exon 14 skipping: 캡마티닙, 테포티닙
  • RET: 셀퍼카티닙, 프랄세티닙
  • HER2: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 등

3부: 표적 치료를 위한 유전자 검사

1. NGS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 소량의 조직으로도 다중 유전자 분석 가능
  • 환자의 유전적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최적 치료제 선택 가능

2. 액체생검 (Liquid Biopsy)

  • 혈액 내 순환 종양 DNA(ctDNA) 분석
  • 반복적 검사로 내성 모니터링 및 치료 전략 수정 가능

4부: 치료 반응 및 내성 발생

1. 표적 치료의 초기 효과

  • 빠른 증상 개선
  • 객관적 반응률 60~80% 이상인 경우도 있음

2. 획득 내성 (Acquired Resistance)

  • EGFR의 경우 T790M, C797S 돌연변이 등
  • ALK 재배열은 다양한 이차 돌연변이 유발 가능
  • 다음 세대 약물 또는 병용 요법으로 극복

5부: 표적 치료와 병용 전략

1. 면역항암제 병용

  • 특정 돌연변이를 제외하고, 병용 치료 가능성 확대 중
  • PD-L1 수치에 따라 병용 여부 결정 가능

2. 항암제 + 표적치료

  • 병기나 내성 상황에 따라 전통 항암제와 병용

3. 표적치료 + 방사선 치료

  • 뇌전이 또는 국소 진행 시 효과적 조합 가능

6부: 최신 연구 동향 및 임상 적용 사례

1. 신약 개발

  • 새로운 표적 부위 및 변이에 대한 약물 개발 활발 (KRAS, HER2 등)
  • ADC(항체-약물 접합체), PROTAC 기반 표적치료 연구 진행 중

2. 실제 환자 사례

  • EGFR 변이 환자가 1세대 약물 이후 T790M 돌연변이로 타그리소 전환 후 완전 관해 사례
  • ALK 재배열 환자: 2년간 알레센자 투여 후 뇌전이 방지 성공
  • RET 변이 환자: 셀퍼카티닙 사용 후 무진행 생존 기간 18개월 이상 유지

비소세포폐암 표적 치료


7부: 표적 치료 환자의 삶의 질 향상 전략

1. 부작용 관리

  • 발진, 설사, 간수치 상승, 간헐적 피로감 등 → 조기 개입 필요

2. 정기 모니터링

  • 혈액검사, CT, 종양표지자 측정 등 정기적 평가

3. 정신적 지지

  • 치료 과정에 대한 불안, 재발 공포 → 정신건강 상담, 지지 그룹 참여 권장

글을 마치며.. 비소세포폐암의 미래는 정밀의학에 있다

표적 치료는 단순한 약물 치료를 넘어선 유전자 정보 기반의 정밀의학 전략입니다. 정확한 진단, 빠른 치료제 적용, 내성에 대한 대비,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병행될 때 비소세포폐암은 치료 가능한 질병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