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결막염] 결막염 전염 결막염 증상 결막염 치료 결막염 원인 안약

행복한 살몬 2025. 3. 7.

결막염(Conjunctivitis)

1. 결막염이란 무엇인가?

결막염(Conjunctivitis)은 눈을 덮고 있는 얇은 막인 결막(Conjunctiva)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결막이 감염되거나 자극을 받으면 충혈, 가려움, 눈물 분비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결막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알레르기, 자극성 물질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치료 방법도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결막염

2. 결막염의 주요 원인

결막염은 크게 감염성 결막염과 비감염성 결막염으로 구분됩니다.

2.1 감염성 결막염

  • 바이러스성 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등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며, 전염성이 높음.
  • 세균성 결막염: 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인플루엔자균 등에 의해 발생하며, 눈곱이 심하게 끼는 특징이 있음.
  • 클라미디아 결막염: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막염으로, 신생아 및 성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음.

2.2 비감염성 결막염

  • 알레르기성 결막염: 꽃가루, 먼지, 애완동물의 털 등에 의해 발생하며, 가려움과 눈물 분비 증가가 특징적임.
  • 자극성 결막염: 연기, 화학 물질, 콘택트렌즈 착용 등으로 인해 발생함.
  • 건성 결막염: 눈물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

결막염

3. 결막염의 주요 증상

결막염의 증상은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1 바이러스성 결막염 증상

  • 눈의 충혈 및 붉어짐
  • 가려움 및 눈물 증가
  • 물 같은 분비물 발생
  • 한쪽 눈에서 시작하여 반대쪽 눈으로 전파됨
  • 감기 증상(콧물, 목 통증 등) 동반 가능

3.2 세균성 결막염 증상

  • 눈곱(고름 같은 분비물)이 심하게 끼며, 아침에 눈이 붙을 수 있음
  • 눈꺼풀 부종
  • 결막의 심한 충혈
  • 감염이 심하면 시력 저하 가능

3.3 알레르기성 결막염 증상

  • 극심한 가려움증
  • 눈물 분비 증가
  • 양쪽 눈에 동시 발생
  • 코 막힘, 재채기 등의 알레르기 증상 동반 가능

결막염

4. 결막염의 진단 방법

4.1 신체검사 및 병력 청취

  • 환자의 증상 및 병력 확인
  • 결막 상태 시진(눈의 충혈, 부종, 분비물 여부 확인)

4.2 검사 방법

  • 세균 배양 검사: 세균성 결막염이 의심될 경우 분비물 채취 후 배양 검사 진행
  • 눈물 검체 검사: 바이러스 감염 여부 확인
  • 알레르기 검사: 알레르기성 결막염 감별을 위한 혈액 검사 진행 가능

결막염

5. 결막염의 치료 방법

5.1 바이러스성 결막염 치료

  • 대개 자연 치유됨(1~2주 소요)
  • 인공눈물, 냉찜질 등 증상 완화 치료
  • 전염 방지를 위해 개인 위생 철저히 유지

5.2 세균성 결막염 치료

  • 항생제 안약(에리스로마이신, 토브라마이신 등) 사용
  • 감염 전파 방지를 위해 손 씻기 및 눈 비비지 않기

5.3 알레르기성 결막염 치료

  • 항히스타민제 안약(올로파타딘, 케토티펜 등) 사용
  • 원인 물질 회피(꽃가루, 애완동물 등)
  • 냉찜질 및 인공눈물 사용

5.4 자극성 결막염 치료

  • 자극 요인 제거(연기, 화학 물질, 콘택트렌즈 착용 중단 등)
  • 증상 완화를 위한 인공눈물 사용

결막염

6. 결막염 예방 방법

6.1 개인 위생 철저

  • 손 씻기 생활화
  • 눈을 만지지 않기
  • 개인 수건 및 화장품 공유 금지

6.2 콘택트렌즈 위생 관리

  • 깨끗한 손으로 렌즈 착용 및 제거
  • 렌즈 세척 및 보관 용액 교체 철저히 관리

6.3 알레르기 관리

  • 꽃가루가 많은 날에는 실내 활동 권장
  • 공기청정기 및 가습기 사용

결막염

7. 글을 마치며..

결막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다릅니다.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및 세균성 결막염은 개인 위생을 철저히 유지해야 하며, 알레르기성 결막염은 원인 물질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반드시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