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흉] 기흉 원인 기흉 증상 기흉 수술 진단 기흉 검사
기흉(Pneumothorax)
1. 기흉이란 무엇인가?
기흉(Pneumothorax)은 폐에 공기가 차면서 폐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허탈되는 질환입니다. 폐와 흉벽 사이의 흉막강(Pleural cavity)에 공기가 비정상적으로 유입되면 폐가 정상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고 찌그러지게 됩니다. 기흉은 경미한 경우 자연적으로 회복될 수도 있지만, 심한 경우 호흡 부전이나 쇼크로 발전할 수 있어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2. 기흉의 주요 원인
기흉은 원인에 따라 자발성 기흉, 외상성 기흉, 이차성 기흉으로 구분됩니다.
2.1 자발성 기흉(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PSP)
- 건강한 사람에게 특별한 외상 없이 발생하는 기흉
- 대개 키가 크고 마른 젊은 남성에서 흔함
- 흡연, 유전적 요인, 흉막의 작은 기포(Bleb) 파열 등이 원인
2.2 외상성 기흉(Traumatic Pneumothorax)
- 교통사고, 낙상, 총상, 찔림 등의 외상으로 인해 폐가 손상되면서 발생
- 기흉과 함께 출혈이 동반될 수도 있음(혈기흉, Hemopneumothorax)
2.3 이차성 기흉(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SSP)
- 기존 폐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기흉
- 폐기종,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결핵, 폐렴, 낭성 섬유증, 폐암 등이 원인
- 폐 질환으로 인해 폐 조직이 약해진 경우 발생 가능성이 높음
2.4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 공기가 흉막강으로 유입되지만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압력이 증가하는 심각한 형태
- 폐뿐만 아니라 심장과 혈관을 압박하여 혈류 장애를 일으킬 수 있음
- 응급 치료가 필요하며, 즉시 흉관 삽입(chest tube insertion)이 필요함
3. 기흉의 주요 증상
기흉의 증상은 공기의 유입량, 폐 허탈의 정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3.1 경미한 기흉 증상
-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흉통)
- 호흡곤란 또는 숨쉬기 불편함
- 마른기침
- 흉부 불편감
3.2 중증 기흉 증상
- 호흡 곤란 악화
- 피부 및 입술의 청색증(산소 부족)
- 빠른 심박수(빈맥)
- 저혈압
- 어지러움 및 실신
3.3 긴장성 기흉 증상
- 심한 호흡곤란
- 심박수 증가 및 혈압 저하
- 정맥 팽창(경정맥 확장)
- 기도 편위(Tracheal deviation, 기관이 한쪽으로 밀리는 현상)
- 응급 상황으로 즉시 치료가 필요함
4. 기흉의 진단 방법
4.1 신체검사
- 청진 시 한쪽 폐에서 호흡음 감소
- 타진 시 공기저류로 인해 과공명(Hyperresonance) 소견
4.2 영상 검사
- 흉부 X-ray: 폐 허탈 여부 확인
- CT 촬영: 작은 기흉, 폐 질환 동반 여부 평가
- 초음파 검사: 긴장성 기흉의 신속한 평가 가능
5. 기흉의 치료 방법
5.1 경미한 기흉의 치료
- 자연 회복 가능성이 높은 경우 산소 치료 및 경과 관찰
- 흉막강 내 공기가 서서히 흡수됨
5.2 중증 기흉의 치료
- 흉관 삽입술(Chest tube insertion, 흉강 배액술)
- 흉막강 내 공기를 제거하여 폐의 재팽창 유도
- 바늘 흉강 천자(Needle decompression)
- 긴장성 기흉에서 응급 처치로 시행
- 외과적 치료(수술적 치료, VATS)
- 재발성 기흉이거나 기포(Bleb) 제거가 필요한 경우
6. 기흉의 예방 및 재발 방지
6.1 생활 습관 개선
- 금연: 흡연은 기흉 재발 위험을 증가시킴
- 과도한 신체 활동 및 운동 주의: 급격한 압력 변화 피하기
6.2 재발 방지를 위한 의학적 조치
- 흉막 유착술(Pleurodesis): 화학 물질(텔크, 독시사이클린 등) 또는 기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흉막을 유착시켜 재발 방지
- 외과적 기포 절제술(Bleb resection): 기흉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환자에게 시행
7. 글을 마치며..
기흉은 경미한 경우 자연 치유될 수도 있지만,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기흉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 습관 개선과 필요시 외과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기흉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대응이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강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내염] 구내염 원인 구내염 치료 알보칠 구내염 연고 (0) | 2025.03.10 |
---|---|
[결막염] 결막염 전염 결막염 증상 결막염 치료 결막염 원인 안약 (0) | 2025.03.07 |
[폐혈증] 폐혈증 원인 진단 폐혈증 치료기간 쇼크 항생제 (0) | 2025.03.05 |
[조영제 부작용] 조영제 CT 조영제 설사 신장 MRI (0) | 2025.03.04 |
공황장애 원인 호흡법 치료 공황장애 증상 초기증상 극복법 (0) | 2025.03.03 |
댓글